반응형
관리 메뉴

맞춤법교실

[맞춤법] 되, 돼 /대, 데 정답은? 본문

카테고리 없음

[맞춤법] 되, 돼 /대, 데 정답은?

맛춤뻡 2023. 6. 24. 14:05
반응형

dss

안녕하세요

맞춤법 교실의 맛춤뻡입니다.

 

헷갈리기 쉬운 오늘의 맞춤법 두 가지를 가져와봤는데요

다음 중 어떤 문장이 옳은 맞춤법일까요?

 

 

-대? -데?

-돠? -돼?

 

어떤 말이 맞는 걸까요?

 

 

 

 

1.

-데 

 

자주 쓰면서 매번 헷갈리는 맞춤법, 그중에서도 데는 어떨 때 쓰일까요?

 

-데’는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보고하듯이 말할 때 쓰이는 말로 ‘-더라’와 같은 의미를 전달하는 데 쓰입니다.

- 그 애가 그러는데, 확인했는데 같은 경우가 있겠죠?

 

 

 

 -대

‘-대’는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쓰입니다.

또 '-다고 해/-라고 해'의 준말입니다

- 그렇대, 같대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2.

되와 돼

 

되와 돼는 아주 간단하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헷갈리는 부분이 하와 해를 넣어보면 되는데요

 

'하'를 넣어 자연스러운 말이 되면 '되'

'해'를 넣어 자연스러운 말이 되면 '돼'

이렇게 사용하면 됩니다

한번 알아볼까요?

 

이거 해도 돼를 사용해 볼게요

이거 해도 해? (o)

이거 해도 하? (x)

 

그렇게 하면 안돼를 사용해볼게요

그렇게 하면 안해(o)

그렇게 하면 안하(x)

 

안 되는 거야를 사용해볼게요

안 하는 거야(o)

안 해는 거야(x)

 

문장이 자연스러운 되/돼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또 되는 돼어의 준말입니다

되어를 넣었을때 자연스러우면 돼를 사용하면 됩니다

 

 

 

 


했대 했데

했대가 맞는 표현입니다.

 

안돼 안되

안 돼가 맞는 표현입니다.

 

 

 


 

다시 한번 정리하자면

 

 

"대": "대"는 대명사로 사용되며, 주로 사람이나 사물의 위치를 나타내거나 특정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면, "그는 나를 대기실로 데려갔다"라고 말할 때 "대기실"은 특정 위치를 가리키는 대상이 됩니다. 또 다른 예로는 "차 대신 버스를 타자"라고 할 때 "차"는 대상을 가리키는 대명사입니다.

"데": "데"는 전치사로 사용되며, 어떤 사건이나 상황이 진행되는 곳이나 시간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면, "무슨 일이 벌어진 데에서 그를 만났어"라고 말할 때 "무슨 일이 벌어진 곳"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또 다른 예로는 "나는 회의 데에 늦었다"라고 할 때 "회의가 진행되는 장소"를 나타냅니다.

요약하면, "대"는 대명사로서 특정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되고, "데"는 전치사로서 어떤 사건이나 상황이 진행되는 곳이나 시간을 나타냅니다.



"돼": "돼"는 "되다"의 축약형으로서 사용됩니다. "되다"는 어떤 상태나 조건에 도달하거나 어떤 일이 발생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돼"는 주로 되지 않았던 상태에서 되게 되거나 변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이 일은돼지 않았다"라고 말할 때, "돼"는 "되지 않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되": "되"는 "되다"의 원형으로서 사용됩니다. "되다"는 어떤 상태나 조건에 도달하거나 어떤 일이 발생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되"는 주로 명령문이나 의문문에서 사용되며, 어떤 결과를 기대하거나 어떤 일이 가능한지 물을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이 일이 될까요?"라고 물을 때, "되"는 "되다"의 원형으로서 "이 일이 발생하거나 가능한지"를 의미합니다.

요약하면, "돼"는 "되다"의 축약형으로서 되지 않았던 상태에서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며, "되"는 "되다"의 원형으로서 어떤 결과를 기대하거나 가능성을 물을 때 사용됩니다.

 

 

 

이상 맞춤법 교실의 맛춤뻡이였습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

 

반응형